티스토리 뷰
요즘 어린아이부터 회장님까지 모두 "파이썬" 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 같다.
파이썬(Python)은 뱀이라는 뜻이며, "귀도 반 로섬" 이라는 네덜란드 엔지니어가 1991년도에 발표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Welcome to Python.org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파이썬에 대한 특징을 나열하자면,
1. 인터프리터 기반 언어
2.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3. 가독성을 "지향"하는 언어
4. Dynamic Type Binding을 지원하는 언어
5. Garbage-Collector가 메모리를 관리하는 언어
가 되겠다. (응? 무슨소리지)
이러한 특징들은 다음과 같은 코드 예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리 함께 Hello World를 찍어보아요"
< C >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 Python >
print("Hello World")
(응? 이게 끝이야?)
위에나 밑에나 코드를 둘 다 뭔소리인지 모르는 분들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아 밑에는 심플하다. 이건 뭔가 간단하다.
그렇다! 파이썬이 원하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몇몇 사람들의 환상속에서 위에 코드가 더 멋있어 보일 수 있지만, 어차피 동작하는데 차이는 없다. 속도 차이도 (거의) 없다.
파이썬은 사람들이 편하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기를 바라며 만들어진 언어이다.
파이썬을 공부할때 흔히들 알게되는 파이썬 유우머 중에,
"Life is short, You need Python."
이라는 명언이 있을 정도이다.
가독성을 중요시 여기며, 똑같은 방법이지만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tool이 바로 Python인 것 이다!
그래서, 파이썬을 배우게 되면 흔히 얘기하는 쉽게 프로그래밍을 접할 수 있다.
필자는 10년전에 C언어로 처음 코딩을 배웠다. (사실 정보처리기능사 할때 Visual Basic을 하긴했는데.. 그냥 외웠기 때문에 SKIP)
그리고 안타깝게도, 학교에서 C언어로 주구장창 모든 수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3학년때까지 C언어 하나만 사용했었다.
그러다가 3학년 전공과목 중에 갑자기 프로젝트를 파이썬으로 하라는 청천벽력이 떨어져서, 모르고 그냥 써본것을 처음으로
그 뒤에 2016년도에 제대로 파이썬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동영상 강의와 책 한권을 끝내고 2주정도 뒤에 문법을 거의 다 파악하고 바로 코딩을 할 수 있었다.
물론 그간 학교에서 코딩을 많이 했었고, 그 당시 학부연구생으로 있던 교수님이 2주에 시간을 주셨기 때문에... (이하생략)
하지만, 기초 문법에서 시작해서 그 당시 연구를 위해 필요했던 코드를 이해하기엔 쉽지 않았다.
그래서 코드를 열심히 따라쳐보고 print로 변수 하나하나 찍어보고 구글링 하면서 빠르게 익혀갔다.
그래서 대략 한달만에 제안한 알고리즘의 코드를 짜고 데이터를 바꿔서 실행해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파이썬은 쉽게 적용가능한 언어이며, 굉장히 많은 라이브러리를 지원하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당연히 전공자니까 금방 하는거 아니냐?
맞는말이다. 하지만 그 당시 하나도 모르던 C++이나 Java로 똑같이 시작했으면 절.대.로. 한달안에 불가능했다.
심지어 C++은 C랑 문법도 비슷하지만, 쉽지 않다. 이렇게 파이썬은 코딩의 구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시켜 줄 수 있다.
끝으로, 요즘에 인공지능 기술들이 화두로 오르면서 데이터분석, 머신러닝, 딥러닝 같은 기술들을 배우기 위해 파이썬을 많이 공부하신다.
파이썬은 당연히 데이터분석에서 메인으로 사용되는 언어지만, 서버 개발, 앱 개발, 블로그 제작, 게임 제작 등 정말 다양한 곳에서 개발 용도로도 충분히 제 역할을 할 수 있다. 파이썬 짱짱맨!!
결론 :
파이썬 배워서 개발 시간 줄이고, 스트레스도 줄이고, 워라벨 누립시다!